김진욱 전무 / 에이앤유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주)
지난호 릴레이 인터뷰에 소개된 서울연구원 이성창 박사는 69번째 인터뷰 주자로 에이앤유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주) 김진욱 전무를 추천했다. 이 박사 김진욱 전무에 "정책개발과 실무를 아우를 수 있는 도시전문가"라고 소개했다.


국책연구원에서 다년간 정책개발에 관한 일을 맡아오다 좀 더 현장에 밀접하게 다가가 실무에 제대로 적용되는 일을 해보고자 건축사사무소로 자리를 옮긴 인물이 있다.

에이앤유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주)에서 도시디자인본부장을 맡고 있는 김진욱 전무가 바로 그 사람이다.

그는 국토연구원 건축도시연구소(AURI)에서 다년간 주거센터장을 맡으며 국가 주택정책과 관련한 업무를 해왔다.

김 전무는 요즘 도시관리계획은 큰 변화를 맞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렌드 변화에 따른 새로운 도시관리체계가 등장하고 있는 것. 이미 법제화는 되어 있지만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던 관리기법들이 연구와 논의를 거쳐 실효성 있는 정책·제도로 하나 둘씩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고 한다. 그는 "현재의 우리나라의 주택시장 침체는 선진국들 역시 동일한 시기를 겪었고 이를 통해 새로운 개발 기법, 관리기법들이 나오는 시기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 GDP와 건설경기가 맞물려있어 새로운 주거시장을 개발하지 않으면 경기침체에 빠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현재 침체되고 있는 주택경기 활성화를 위한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제는 예전과 같이 집을 짓기만 하면 잘 팔리는 시대는 지났기에 그는 "주택의 가치를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한다. 전에는 정량적으로 용적률을 높여 다량의 주택을 찍어내면 되었지만 이제는 각각의 특성에 맞게 컨셉을 잡고 활용가치를 극대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

그는 분당, 일산, 평촌 등의 신도시들에 대해 "각각 놓고 보면 다 좋긴 한데 무엇이 다른가라는 생각을 하면 이 문제를 쉽게 알 수 있다"며 지금까지의 도시계획수법과 다른 그곳만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러한 기법 중의 하나로 김 전무는 '특별건축구역'제도를 꼽는다.

특별건축구역은 조화롭고 창의적인 건축을 통해 도시경관의 창출하고 건설기술 향상과 건축 관련 제도개선을 도모하기 2007년 '건축법' 개정을 통해 도입됐다.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되면 건폐율이나 층고, 사선제한, 일조권 등 건축규제가 탄력적으로 완화 적용돼 보다 자유로운 건축 설계가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창의성 높은 복합단지 조성이나 지역 랜드마크 건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전의 개발에서 용적률과 층고가 정해지면 거의 천편일률적인 아파트들이 양산되던 것에서 탈피해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시키고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특별건축구역을 도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종 건축제한 완화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특별건축구역 건축심의와 일정한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도록 하는 제도다.

김 전무는 최근 신반포1차 재건축사업에 특별건축구역을 도입하기로 했다며 "통경축을 확보한다든지 시민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등 공공성을 높이는 기법을 도입하고 대신 인동거리, 높이, 건폐율 등을 완화 받을 수 있도록 해 서로 윈윈하는 사례가 만들어 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별건축구역 제도와 같이 같은 용적이라도 공간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정책들을 개발하는 일을 맡고 있다.

"하나의 정책을 만들면 이것이 제도화되는데 까지는 최소 3년 이상이 걸리고 실제 사업에 적용되는데 까지는 최소 5년 이상이 소요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기간을 줄이고 시행착오를 겪지 않기 위해서는 정책입안자가 사업의 세부구조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실무에서 어떤 문제점이 발생할지 미리 충분한 고려를 해야합니다"

'정책·제도·실행' 이 삼박자가 조화롭고 유기적으로 맞물려 있어야 한다는 김 전무. 그는 오늘도 더 나은 도시를 만드는데 일조하기 위해 현장을 뛰어다니며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

저작권자 © 주거환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