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일 상무 / (주)삼무개발
지난호 릴레이 인터뷰에 소개된 금호15구역 지성국 조합장은 73번째 인터뷰 주자로 (주)삼무개발의 한상일 상무를 추천했다. 지 조합장은 한 상무에 대해 “조합원·세입자들의 어려움을 지원하는 이주관리 전문가”라고 소개했다.

 

최근 서울시에서는 강제철거 없는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위해 조합·가옥주·세입자·공무원 등이 함께하는 사전협의체를 구성·운영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주시점에서 충분한 대화 창구 개설로 합의에 의한 이주를 유도하겠다는 것. 하지만 일선 조합에서는 이미 이러한 협의와 지원이 보편화되어 있다.

(주)삼무개발의 한상일 상무가 하는 일이 바로 그 부분으로 ‘이주에 관한 토탈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삼무개발은 이주관리, 철거분야의 전문기업으로 가락시영, 신반포1차, 옥수13구역, 금호15구역, 용강2구역, 신길11구역 등의 사업장을 맡아왔다.

벌써 12년째 해당 업무를 진행하며 전문성을 갖춘 한 상무는 옥수13구역, 금호15구역 등에서 이주관리를 총괄하고 있다. 이주를 진행하기에 앞서 원활한 이주를 위해 사전계획을 세우고 지속적인 협의를 진행하며 실제 이주를 돕는 일을 진행하고 있다.

이주촉진·지원이라는 이주관리 개념을 도입하고 현장에 접목시킨 것도 그의 손끝에서 시작됐다.

그는 상가가 많았던 용강2구역 사업장에서 당시 시공자였던 삼성물산의 담당자와 함께 사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이주를 촉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는데 머리를 맞댔고 계획수립과 함께 긴밀한 사전협의와 협의금 지급 등의 방법을 통해 관리처분 후 9개월 만에 착공하는 성과를 거뒀다.

그는 현장에서 직접 조합원과 세입자들을 만나다보면 늘 다양한 문제들과 접하게 된다고 한다. 이주를 하고 싶지만 경제적 여건으로 어려움을 겪는 세입자들, 대출금 압박에 고민하는 영세조합원들, 좀 더 나은 보상을 받고 싶어 하는 상가세입자들 등등 저마다의 사연과 문제를 듣고 해결하다보면 하루해가 짧다고.

예전에는 이주관리라 하면 강제적인 방법으로 빠른 이주를 이끌어내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이주에 대한 협의와 상담, 지원 등의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이주관리의 목표라 할 수 있다.

“먼저 이주에 대한 홍보를 진행하고 언제 이주가 가능한지, 이주가 어렵다면 어떤 점 때문인지,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이 필요한지 등등을 알아보고 협의하는 일을 진행합니다.”

그는 “연세 있는 분들이나 직장생활에 바쁜 회사원들은 집을 알아보러 다니는 것도 어려운 경우가 많다”며 “이런 경우 주위 공인중개사 등과 연계해 저렴하고 환경이 좋은 집들을 직접 알아보고 알선해 주는 일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일을 하면서 안타까운 부분이 많다고 한다.

상당수 세입자들이 상대적으로 전·월세값이 저렴한 재개발 구역에 살다가 이주를 나가야 하기에 경제적으로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는 것. 또한 인근 지역도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면서 전체적으로 주택이 부족한 것도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그는 최근 전세난이 가중되면서 인근 전세가격은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저렴하고 마음에 드는 집을 구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한다.

그는 이주촉진·지원은 전문가의 도움이 꼭 필요한 분야라고 강조한다. 수많은 사람들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조율을 진행해야 하고 직접 현장에 부딪치며 업무를 처리해야 하기에 다년간의 경험과 노하우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

“이제는 거의 대부분의 사업장에서 이주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막대한 사업비 증가를 가져올 수 있는 이주지연을 막기 위해서 사전부터 전문가에 의한 충분한 계획과 협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한 상무는 세입자에 대책에 대한 정부 지원의 필요성에서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감정가액이 1억도 안 되는 영세조합원들이 상당수인데도 현행 제도는 세입자에 대한 주거이전비와 임대주택 부담, 이사비 부담을 모두 조합원에게 떠넘기고 있습니다. 세입자 문제는 주거복지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며 이는 국가에서 담당해야 할 몫입니다.”

그는 현재와 같은 정비사업 침체기에서는 주거이전비와 임대주택을 모두 제공하는 현행 방식에서 벗어나 택일하도록 하고 국가지원을 늘려 조합원 부담을 줄이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전협의체 구성 방침으로 또 다시 탁상행정이라는 질타를 받고 있는 서울시에서 현장 관계자들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주거환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