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층주거지+아파트 공존 새로운 정비유형으로 추진

불암산 밑자락 구릉지에 자리한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 중계동 백사마을이 4년여 간 이어진 오랜 갈등의 매듭을 풀고 정비사업에 본격 들어간다.

보전에 방점을 둔 도시재생과 전면철거 방식의 재개발을 병행하는 새로운 유형의 정비방식을 도입해 아파트와 저층주거지가 공존하고, 60~70년대부터 자생적으로 자리잡혀온 지형과 골목길이 살아있는 지역으로 탈바꿈시킨다는 것이 큰 그림.

이를 위해 서울시는 백사마을 전체 부지 18만8,900㎡ 가운데 공공임대주택 건설이 예정된 부지 약 42,000㎡에 주거지보전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 지형, 골목길, 계단길, 작은마당 같이 60~70년대 서민들의 주거‧문화생활사를 간직한 주거지 특성을 보전하면서 지상 1~3층의 저층형 임대주택 698세대를 건립하는 것이 핵심.

나머지 부지 14만6,900㎡에는 노후한 기존 주택을 철거하고 1,840세대 규모의 아파트를 신축하게 된다.

서울시는 작년 7월 새로운 사업시행자로 선정된 SH공사가 주거지보전사업을 포함한 ‘백사마을 정비계획 변경 입안제안서’를 지난 6일 노원구에 제출, 정비사업이 본궤도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향후 자치구 주민설명회 및 주민공람, 서울시 도계위 심의 등을 거쳐 오는 6월 말 정비구역 변경 지정하고 연내 사업시행인가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백사마을은 1967년 도심개발로 청계천 등에 살던 주민들이 이주하면서 형성된 마을로 2009년 주택재개발 정비사업구역으로 지정되면서 LH를 사업시행자로 재개발 사업을 시작했지만 사업시행자의 무리한 정비계획 변경 요구와 주민갈등 등으로 사업이 장기간 정체됐으며 2016년 사업시행자 지정이 취소됐다.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을 막기 위해 1971년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백사마을은 2008년 1월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된 후 전면철거 방식의 재개발사업이 계획됐다.

하지만 추진 과정에서 사라져가는 저층주거지를 보전할 필요가 있다는 사회 각계 목소리가 커지면서 다각적 논의가 진행됐고, 시는 2011년 백사마을에 대한 주거지보전사업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주거지보전구역 지정, 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주거지보전구역 임대주택에 대한 디자인가이드라인과 기본설계안을 마련한 바 있다.

사업 정상화를 위해 서울시가 주민갈등 중재, 시‧구‧전문가 합동점검 및 교차검증, 도시계획위원회 자문 등 지속적으로 노력한 결과 4년여의 대립 끝에 2016년 말 주민대표회의가 재구성됐고, 지난해 7월 SH공사가 사업시행자로 선정되면서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아울러 시는 백사마을 정비사업 정상화에 발맞춰 작년 초부터 백사마을 주거지보전사업의 실현을 위한 TF를 운영하고 총괄MP를 위촉해 시, 노원구, 사업시행자, 주민대표회의 간 협의를 통해 이번 통합 정비계획을 수립했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백사마을 주거지보전사업은 가족과 이웃이 삶을 함께했던 마을이 사라져가는 전면철거 재개발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60~70년대 과거(보전)와 현재(공동주택)가 공존하는 새로운 방식의 정비사업”이라며 “지역의 특색을 유지하고 이웃이 어울려 살아가는 저층주거지의 가치를 회복시키는 서울형 주거재생의 한 모델이 될 것” 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주거환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